카테고리 없음 / / 2024. 10. 15. 03:21

영화 '나랏말싸미' 줄거리, 한글창제에 숨겨진 이야기

안녕하세요, 모든 사람들이 알 듯이 휴일로 정해진 "한글날"이 10월 9일 이었습니다. 한글, 즉 "훈민정음"을 만든 분이 세종대왕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입니다. 그리고 한글 창제와 반포가 3년의 차이가 있나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영화 '나랏말싸미'을 통해 한글 창제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주요정보

영화 '나랏말싸미(2019)'는 세장대왕의 한글창제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감독은 조철현 감독으로 1993년 '키드 캅'을 시작으로 '달마야 놀자(2001)', '황산벌(2003)', '님은 먼곳에(2008)', '평양성(2011)' 등 에서 감독, 기획, 제작 등을 맡았으며 '나랏말싸미"에서는 감독, 각본, 각색, 작사를 맡았습니다. 주연으로는 송강호, 박해일, 전미선 배우가 출연하였고 조연으로는 김준한, 차래형, 금새록, 최덕문 등의 배우가 출연하였습니다. 또한 이 영화가 개봉한 2019년에 사망한 전미선 배우의 유작이기도 합니다. 

 

줄거리, 한글이 만들어진 진실을 찾다!

조선의 제 4대 임금인 세종대왕은 양반과 사대부들만 알고 쓰는 한문에 대한 어려움으로 일반 백성들이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선의 문자를 만들겠다는 문무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조선이라는 나라의 지존인 임금인 '세종대왕'은 조선시대에 가장 미천한 신분으로 여겨진 스님인 '신미대사'를 설득해 글자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는 과정에서 겪는 고민과 결심으로 백성들이 알기 쉬운 글자로 소통을 쉽게 할 수 있게 되기를 고대합니다. 또한, 한글이 단순한 문자이상으로 민족의 정체성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고 조선이 발전하기를 바라는 의지를 확고히 합니다.

 

등장인물

세종대왕(송강호)

세종대왕은 누구보다 백성을 사랑했기 때문에 백성들의 불변한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세종은 학문과 기술발전에 노력하면서 한글을 통해 모든 백성이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조선의 문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리고 많은 학자들과 스님 등과 협력하여 한글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습니다.

신미대사(박해일)

신미대사는 조선시대에 멸시받는 스님이지난 세종대왕의 설득으로 한글 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미대사는 세종대왕과의 만남을 통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이해하며 한글을 만드는데 각고의 노력을 기울입니다. 신미대사의 지식과 경험은 한글의 구조와 원리를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또한, 신미는 세종과의 관계를 통해 그가 가진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함께 겪으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소헌왕후(전미선)

소헌왕후는 세종대왕의 왕비이며 세종대왕 정치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입니다. 소헌왕후는 세종대왕의 계획과 목표를 이해하고 지지하면서 한글을 창제에도 많은 역할을 합니다. 소헌왕후는 세종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역할을 연기하며 고뇌와 고민을 함께 나누며, 한글을 창제하는 목표와 목적의 필요성을 부각시킵니다.

정인지(최덕문)

정인지는 세종대왕의 문신이며 성리학자이자 한글 창제에 참여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세종의 정책을 지지하지만 시대적 상황에 의해 한글 창제에 회의적인 인물입니다. 정인지의 갈등은 세종과의 의견 차이에서 비롯되지만 한글 창제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를 시작합니다. 그는 당시 조선의 보수적인 시각을 보여주며 한글 창제의 필요성을 둘러싼 다양한 의견을 제시합니다.

 

주제와 메시지

이 영화의 주제는 언어의 힘입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한문이 아닌 조선의 글자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조선시대에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일반 백성들이 알기 어려운 문자였기 때문에 조선의 모든 백성들이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 이상으로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를 발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한문이 아닌 조선의 문자는 모든 사람들이 교육받을 수 있게할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은 백성을 사랑하고 그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던 임금으로 한글을 통해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지식을 배우구 소통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또한 한글은 문자이상으로 문화와 국가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관람후기

이 영화를 보면서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를 볼 수 있습니다. 한글의 창제에 반대하는 신하들이 있는 것을 알고 명나라와의 사대적 관계 속에서 한글을 창제하기 위해 노력하는 세종대왕과 소헌와후, 세자와 수양대군, 안평대군 등 많은 인물들이 각고의 노력을 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논란이 되었던 것은 '신미대사'를 비롯한 여러 스님들의 역할, 고대 인도의 문자가 사실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게 합니다. 그리고 팔만대장경에 대한 일본과의 관계도 알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